티스토리 뷰
비행기 관련 사고소식이 연달아 들려오면서 전 국민이 가슴을 쓸어내리고 슬픔을 겪어온 요즘입니다.
무안항공사건에 뒤이어 보조배터리 발화로 인한 비행기 화재사고는 전국민의 놀란 가슴을 또 한번 쓸어 내리게 했는데요.
사고의 원인이 보조배터리로 추정하고 있다고 하니 향후 이와 같은 사고를 미리 예방하기 위해 항공기내에서 보조배터리 허용 용량과 반입 규정에 대해 글을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비행기 보조배터리 허용 용량
비행기에서 허용되는 보조배터리의 용량은 일반적으로 100Wh(와트시) 이하입니다.이는 약 27,000mAh의 용량에 해당하며, 대부분의 개인용 보조배터리가 이 기준을 충족합니다. 하지만 100Wh 이상 160Wh의 보조배터리는 일부 항공사에서 추가 승인을 요구할 수 있으므로, 사전에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기준을 정한 이유는 리튬 이온 배터리가 폭발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국제민간항공기구(ICAO)는 리튬 배터리에 대한 안전 규정을 마련하여 항공사들이 이를 준수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비행기 여행을 계획하고 있다면, 보조배터리의 용량을 미리 체크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국제선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
국제선 비행의 경우, 보조배터리의 반입 규정이 국가마다 상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의 경우 TSA(교통안전청)에서 보조배터리의 규정을 엄격히 적용하고 있으며, 용량이 100Wh를 초과하는 배터리는 기내 반입이 금지될 수 있습니다. 반면, 유럽연합(EU) 국가들은 유사한 규정을 가지고 있지만, 각국의 항공사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보조배터리 종류별 기내 반입 가능 여부
보조배터리는 크게 리튬 이온 배터리와 리튬 폴리머 배터리로 나눌 수 있습니다.
리튬 이온 배터리는 일반적으로 효율성이 높고, 더 많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어 많은 사용자에게 인기가 있습니다. 반면, 리튬 폴리머 배터리는 더 가벼우면서도 얇은 형태로 제작할 수 있어 휴대성이 뛰어납니다.
기내 반입 가능 여부는 배터리의 종류와 용량에 따라 다릅니다.
리튬 이온 배터리는 100Wh 이하인 경우 대부분 기내 반입이 가능하지만, 리튬 폴리머 배터리도 비슷한 기준이 적용됩니다. 그러나 일부 항공사는 리튬 폴리머 배터리에 대해 더 엄격한 규정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사전에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조배터리 사용 시 유의사항
기내에서 보조배터리를 사용할 때는 몇 가지 유의사항이 있습니다.
첫째, 전자기기를 기내에서의 안전을 위해 반드시 비행기 (Airplane) 모드로 설정해야 합니다.
둘째, 비행 중에는 충전하는 것을 피하고, 필요할 때만 사용해야 합니다. 항공사에 따라 기내에서의 보조배터리 사용에 대한 정책이 다를 수 있으므로, 해당 항공사의 규정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기내에서 보조배터리를 보관할 때는 항상 손이 닿는 곳에 두어야 하며, 수하물에 넣지 않아야 합니다. 이는 비상 상황에서 즉시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비행기에서의 안전을 위해 이러한 기본적인 규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
여행을 떠나기 전, 보조배터리의 허용 용량과 반입 규정을 미리 확인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문제를 예방하고, 안전하고 즐거운 여행을 즐길 수 있습니다. 여행 전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를 작성해 보세요. 보조배터리의 용량, 종류, 반입 규정 등을 정리해 두면, 여행 준비가 훨씬 수월해질 것입니다.